국내 경영 대학원 마케팅 석사과정에 진학하는 방법은 의의로 간단합니다. 각 학교별로 요구하는 영어성적(TOEIC, TOEFL, TEPS 등), 학부 성적, 학업/연구계획서만 준비한다면 서울대 대학원, 연세대 대학원, 성균관대학교 대학원 등 국내의 유수 대학에 지원할 수 있고 진학률도 높습니다. 국내 경영대학원의 경우 사전 컨택이 필수는 아닙니다.
국내 경영대학원 석사 과정 준비 방법은?
국내에서 학부과정을 마쳤든, 해외에서 학부과정을 마쳤든, 대부분은 '해외'의 경영 대학원 진학을 희망합니다. 국내보다는 해외에서 석사 과정을 마쳐야 향후 커리어도 탄탄하고 기회가 많다는 생각 때문입니다.
물론 틀린말은 아니지만, 생각보다 국내의 경영대학원에도 기회는 많습니다. 또한 각자의 사정과 이유로 국내 경영 대학원에 진학하고자 하는 사람들도 많습니다. 오늘은 국내의 일반대학원 경영학과 석사과정에 진학하는 방법에 대해 소개하겠습니다.
여기서 잠깐! 제가 '일반대학원 경영학과'라고 표현했는데요.
많은 분들이 경영대학원(MBA)과 일반대학원(MA/PhD)을 헷갈려합니다. 경영학을 공부할 수 있는 대학원은 크게 경영대학원(MBA)과 일반대학원(MA/PhD)으로 구분할 수 있습니다. 경영대학원(MBA)과 일반대학원(MA/PhD)의 차이점은 아래 링크에서 자세히 소개하고 있습니다.
MBA 뜻, 경영 전문대학원(MBA)과 일반 경영대학원의 차이점, 경영대학원 입학 요건, 졸업 요건
경영학 석사 학위는 MBA(Master of Business Administration)로 불리는 경영 전문대학원 또는 일반대학원(MS, Master of Science) 경영학 전공을 통해 취득할 수 있습니다. 전문 대학원 과정인 MBA는 이론보다는..
rainzino.com
이 글에서는 MBA가 아닌, 일반대학원 경영학과 석사과정 진학 방법에 대해 소개하겠습니다.
국내 일반대학원 경영학과 석사과정에 진학하기 위해서는 어떤 것들을 준비해야 할까요? 그리고 우리는 어떤 대학을 목표로 해야할까요? 차근차근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 '일반대학원 경영학과 석사과정'이라는 말이 너무 길기 때문에 편의 상 '경영대학원'으로 통칭하여 설명하겠습니다.^^ 정확하게는 '일반대학원 경영학과 석사과정'이라는 표현이 맞습니다.
국내 경영대학원, 어느 대학을 선택해야할까?
대부분 진학을 희망하는 국내 경영대학원은 상위 TOP5에 있는 서울대 대학원, 연세대 대학원, 고려대 대학원, 카이스트 대학원, 성균관대 대학원, 서강대 대학원, 한양대 대학원 정도일 겁니다.
결론부터 말씀드리면, 장담컨데 '대학원' 진학이 '대학' 입시보다 훨씬 쉽습니다. 그렇기 때문에 충분히 준비만 한다면 누구나 국내 유수의 대학원에 갈 수 있습니다.
보통은 위에서 언급한 대학의 경영 대학원에 가기를 희망하실 겁니다.
위 대학의 홈페이지에 접속하셔서 경영학 전공 교수진을 살펴보세요. 교수님이 연구하는 연구분야와 논문을 보고 흥미가 가는 분야가 있다면, 그 대학을 선택하시면 됩니다. 생각보다 간단하죠?
이미 가고자 하는 대학 풀(Pool)이 탑 대학들로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더 이상의 순위 싸움은 무의미 합니다. 제대로 된 교수님의 연구실에서 제대로 배우는 것이 향후 커리어에 더욱 중요합니다.
명심하세요. 국내에서 경영대학원에 가기로 결정하셨다면, 무조건 서울대 대학원을 가실 필요는 없습니다. 물론 갈 수 있는 기회가 주어지면 좋겠지만, 배우고 싶은 교수님도 없는데 선택하는 건 오히려 독이 될 수 있습니다. 학벌세탁을 위해 좋은 경영대학원에 가시길 원하시면, 해외 대학원을 가시는 게 더 현명한 방법입니다!
목표로 하는 대학원을 결정했다면, 어떤 것부터 준비해야 할까요? 의외로 준비해야할 것은 매우 적습니다. 서울대 대학원, 연세대 대학원, 고려대 대학원, 카이스트 대학원, 성균관대 대학원, 서강대 대학원, 한양대 대학원 모두 기본적으로는 아래 3가지를 요구합니다! 자세히 알아볼까요?
1. 영어 성적 준비하기(TOEIC, TOEFL, TEPS 등)
국내든 해외든 경영 대학원 준비를 위해서는 영어 성적이 필수입니다. 끝날 때까지 끝나지 않는 영어와의 전쟁..! 많은 분들이 궁금해하시는 것은 두 가지 입니다. (1) 어떤 시험을 봐야하는지? (2) 점수는 어느 정도가 되어야 하는지?
TOEIC, TOEFL, TEPS 어떤 시험을 봐야할까?
학교마다 요구하는 영어 성적의 유형이 다릅니다. 진학을 희망하는 학교의 입시 요강을 확인하신 후 그에 맞는 영어 성적을 준비하시면 됩니다. 대표적으로 서울대 대학원의 경우 토플(TOEFL) 또는 탭스(TEPS) 성적을 요구하고 있습니다. 반면에 토익 성적을 요구하는 대학원도 있습니다. 준비하고자 하는 대학원에 맞는 영어 성적을 준비하시면 됩니다.
전략적으로 최대한 많은 경영 대학원에 원서를 넣고자 할 경우, 보편적으로 요구하는 성적인 토플 성적을 갖고 있는 경우도 많습니다. 서울대 대학원은 토익 성적을 보지 않기 때문에 서울대 대학원에 가길 원하시는 분은 토익을 준비하면 안되겠죠? 준비를 하실 때 입시 요강을 잘 확인하시길 바랍니다.
경영 대학원에 가려면, 영어 성적은 몇 점 받아야할까?
고고익선입니다. 너무 뻔한 답변이지만 높으면 높을수록 당연히 좋습니다. 학교마다, 심사하는 교수님마다 얼마나 영어를 중요시 여기는지 알 수 없기 때문에 최대한 높은 점수를 받아두시면 좋습니다. 너무 낮은 점수라도 낙담하진 마세요! 점수의 하한 커트라인도 없기 때문에 점수만 있다면 누구나 지원할 수 있습니다.(물론 떨어질 확률이 높겠지만요 ㅠㅠ) 후회하지 않도록 본인의 능력 하에서 최대한 높은 점수를 받아두세요.
영어 성적을 받기 위해 준비하는 과정은 일종의 트레이닝이라고도 할 수 있습니다. 경영대학원 진학 후 엄청난 양의 해외 논문을 읽기 시작하기 때문에 진학 전 영어 공부를 하는 과정이 반드시 필요합니다. 성적도 받을 겸, 영어 공부도 할 겸 영어와 익숙해지시면 좋습니다! 결코 헛된 시간이 아니니까 열심히 즐겁게 공부하세요!
또 서울대 대학원을 예로 들게 되는데요, 서울대의 경우에는 영어 성적의 하한 커트라인도 있습니다. 영어 실력이 되지 않는 학생을 받지 않겠다는 거지요. 목표로 하는 대학에 영어 성적 커트라인이 있다면 반드시 확인해두시길 바랍니다!
2. 학부 성적 돌아보기
학부 성적은 이미 우리의 손을 떠나버렸습니다... 대학원을 준비하는 시점에는 이미 학부 성적이 결정되었기 때문에 그냥 받아들이셔야겠죠..?^^;
학부 성적은 무난히 3.5점 정도면 됩니다. 물론 성적은 항상 고고익선.
아무래도 대학원 석사과정은 공부하려는 의지가 있는 학생을 뽑는 것이기 때문에 성적이 좋으면 좋은 첫인상을 심어줄 수 있습니다. 4.0이 넘으면 교수님들이 매우 좋아하실 겁니다.
아직 대학 2~3학년에 재학 중이신 분이 계시면 성적 관리는 잘 해두시면 좋습니다. 특히 석사학위 취득 후 연구소 등에 취업할 경우에는 높은 성적이 좋은 인상을 계속 줄 수 있을 겁니다. 무조건 성적 관리는 잘 해두세요!
3. 연구계획서 작성하기
이제 갓 학부 과정을 졸업하는 학생이 연구계획서를 어떻게 쓰느냐 하시는 분들이 있을 겁니다. 맞습니다. 우리를 평가하는 교수님들도 똑같이 생각하십니다.
교수님들은 우리가 제출한 연구계획서를 통해 '논문/연구가 어떤 건지 이해하고 있는지'를 평가하고자 합니다. 따라서 연구계획서 작성을 위해 관심있는 분야의 논문을 많이 읽어보신 후 논문의 구조를 보여줄 수 있도록 쓰는 것이 중요합니다. 여기서 논문의 구조란 '논리적인 구조'를 의미합니다. 논문은 나의 주장(가설)을 논리적으로 설득하기 위해 쓰여지는 글이기 때문에 반드시 논리적 구조를 띄어야 합니다.
연구 주제는 관심 있는 전공분야와 관련하여 진학 후 연구하고자 하는 주제로 작성하시면 됩니다. 그러나 부담가질 필요는 없습니다. 다시 한번 말하지만, 학부 수준의 우리들을 보는 교수님들도 번뜩이는 논문 주제를 가져올 것이라는 큰 기대는 딱히 없을 겁니다.
"얘가 연구가 뭔지는 아네", "논문이 뭔지는 아네" 정도를 평가하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구조적으로 논리성 있는 글을 쓸줄 아는 것을 보여주면 됩니다. 아래는 제가 컨설팅을 할 때 사용하는 구조화 툴 입니다. 연구계획서 작성에 어려움이 있으신 분은 아래 흐름으로 작성해보세요! 많은 도움이 되실 겁니다.
핵심은 '논리성' 있는 글을 쓰는 것 입니다.
(1) 연구 분야: 소비자학/ 유통학/ 브랜드/ 계량 마케팅/ ...
(2) 연구 주제: 관심있는 연구주제
(3) 연구 동기: 해당 연구주제에 흥미를 갖게 된 동기
(4) 연구 목적 및 필요성: 연구를 해야 하는 이유
(5) 연구 내용 및 방법: 무엇을 연구할 것이고, 어떻게 연구할 것인지
(6) 연구 결과에 대한 기대효과 및 활용 방안: 해당 연구가 학문에 기여하는 바, 해당 연구의 활용 방안
4. 국내 경영대학원 준비, 컨택을 꼭 해야할까?
'대학원 준비'하면 가장 먼저 떠오르는 단어가 '컨택'입니다. 컨택을 꼭 해야할까요?
사회과학 계열 석사과정 진학의 경우 컨택할 필요는 없습니다.
공학이나 이과계열의 전공은 실험실에서 연구하는 게 중요한 학문이기 때문에 사전에 컨택하는 작업이 반드시 필요하지만, 경영대학원은 사전에 컨택하실 필요가 없습니다.
물론 꼭 배우고 싶은 교수님이 있다면 사전에 연락을 취하는 것도 좋지만, 컨택을 해야한다는 부담감은 내려놓으셔도 좋습니다. 국내 경영대학원의 경우에는 진학자 수가 상대적으로 적기 때문에 경쟁적으로 컨택하지 않아도 위에서 설명한 것들을 충분히 준비하신다면 좋은 결과를 얻으실 수 있습니다.^^
이상으로 국내 경영대학원 준비 방법에 대해 알아보았습니다.
대학원은 심리적 진입장벽이 높을 뿐, 가고자 하는 의지만 있다면 생각보다 문턱이 높지 않습니다.
경영대학원 진학에 대해 더 궁금한 게 있다면 댓글로 문의 주세요:)
'경영대학원 준비' 카테고리의 다른 글
MBA 뜻, 경영 전문대학원(MBA)과 일반 경영대학원의 차이점, 경영대학원 입학 요건, 졸업 요건 (0) | 2021.03.27 |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