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사회적 경제/사회적 경제, 사회혁신

실험공간

by 잔세폴 2021. 3. 4.
반응형

실험공간

협동적 조직은 그들을 둘러싼 생태계의 질에 생명이 좌우되는 살아있는 생명체입니다. 또한 협동적 조직은 그들이 생겨난 환경과 모순적인 관계를 지닌 새로운 존재이기도 합니다. 이런 점들을 고려해볼 때, 협동적 조직의 생존과 발전에 유리한 환경의 첫째이자 핵심적인 특성은 관용, 즉 새로운 것의 존재와 발전을 받아들이는 능력입니다. 둘째 특징은 개방성입니다. 좋은 환경에서는 아이디어가 자유롭게 퍼져나가고 기대하지 않았던 상호작용이 일어난다. 분야별 경계는 무너지고, 서로 다른 배경을 가진 사람이 만나 경험과 지식을 나누게 됩니다.

 

마지막으로 협동적 조직의 생존과 발전에 유리한 환경의 셋째 특징은 학습 능력을 육성한다는 점입니다. 좋은 환경이란 좋은 경험이든 나쁜 경험이든 그 환경 속에 살고 있는 이들의 경험이 허비되지 않는 환경입니다. 디자인 능력이나 협동 능력에 대해 이야기할 때 언급했던 것처럼, 학습 능력은 환경적 여건에 따라 개발될 수도 있고 발휘되지 못할 수도 있는 인간의 보편적능력입니다. 현실적으로 말하자면, 이는 사람들이 거리낌 없이 무언가 새로운 것을 시도해볼 수 있는, 그래서 실수해볼 수 있는 환경을 만드는 문제입니다. 나아가 다양한 경험을 연결시키고 서로 배교해보도록 지원하고 그 결과로 얻은 지식과 인식을 한데 모으는 인프라가 존재해야 합니다. 실제로 이런 내용을 바탕으로 등장하고 있는 것이 훌륭한 사회적실험실의 윤곽입니다. 하지만 사회 전체가 하나의 실험실이 될 수 있을까요? 은유적으로 본다면, 지속가능성을 향한 변화 속에서 이는 가능한 일입니다. 그러려면 사회 전체가 지속가능한 미래에 대한 실험을 행하는 거대한 실험실로 여겨져야 합니다. 은유의 차원을 넘어 좀 더 현실적으로는 사회 전부가 실험실이 될 만한 특성을 갖추고 있지 않다는 점, 그렇지만 아주 열려 있고 관용적인 학습을 지원해줄 수 있는 특벼한 공간을 만드는 일이 가능하다는 점을 인식해야 합니다.

사회적 실험을 하는 이런 공간들은 우연히 생겨날 수도 있지만 디자인될 수도 있습니다. 사회적 실험 공간의 디자인은 오늘날 실제로 일어나고 있습니다. 이런 공간을 낳는 프로젝트의 수는 전 세계적으로 늘고 있습니다. 이런 프로젝트는 이름도 다르고 출발점도 다를 수 있습니다. 따라서 동기나 운영 모델도 다를 수 있습니다. 초기 연구에 의하면 열다섯개가 넘는 사례가 유럽, 북아메리카, 오스트레일리아, 싱가포르에 존재합니다. 예를 들어 데시스네트워크 산하의 P&C 프로젝트는 특히 공공 영역에서의 혁신을 지향하는 공간인 공공 혁신 공간을 제안합니다. 이 프로젝트를 이끌고 있는 교수는 이를 다음과 같이 설명합니다. 공공혁신 공간이라는 개념을 통해 우리는 공공 영역의 문제에 대한 혁신적인 해결책을 다루고, 네트워크 형성과 파트너십 구축을 위한 실험 공간, 에이전시, 혹은 연구실을 제안하고자합니다. 즉 공간은 다양한 분야의 전문가가 만나고 수평적인 방식으로 운영되는 공간입니다. 이 공간은 정부기관의 특정 임무, 정책적 이슈나 절차상의 한계와 같은, 혁시넹 제약이 되는 많은 요소로부터 어느 정도 자유롭습니다. 이런 공간을 늘려 디자인을 도구로 사용해 공공 영역에서의 혁신을 추진하고, 실험적인 시도를 해볼 수 있도록, 그리고 가장 중요하게는 혁신의 가능성을 극대화하기 위해 관련된 모든 이해당사자가 전 과정에 협동적으로 통합되도록 만들려는 방상인 것입니다.

 

결론적으로 공공 혁신 공간의 하나의 사례인 이런 실험 공간들은 물리적 환경과 디지털 환경이 혼합된 하이브리드 환경입니다. 여기에서는 공무원을 포함한 다양한 주체가 만나 상호작용하고, 다양한 가능성을 논의하며 그 가능성을 증명하기 위해 프로토타입을 개발할 수 있습니다. 이러니 공간은 창업 지원 육성 기관이자 유망한 아이디어의 발판으로 운영될 수 있습니다. 혹은 이들은 상향식 프로젝트와 공공기관 혁신 사이에 선순환의 고리가 생겨나고, 따라서 더 많은 협력적 서비스가 활성화되고 확산될 수 있는 긍정적인 환경을 만드는 씨앗이 될 수도 있습니다.

 

반응형

댓글